PC 정비사 필기 용어별 문항정리 – 플러그 앤 플레이(PnP)
【PnP】
Q. 컴퓨터에 주변기기를 추가할 때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정11-03회)
가. P2P(Peer to Peer)
나. PnP(Plug and Play)
다. CMOS
라. POST(Power-on Self Test)
Q. Windows XP에서 확장슬롯에 꽂힌 카드를 인식하여 필요한 드라이버 파일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설치하는 기능을 뜻하는 용어는? (정28회)
가. P2P(Peer to Peer)
나. PnP(Plug and Play)
다. CMOS
라. POST(Power On Self Test)
Q. 하드웨어장치나 드라이버 확장 시 사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필요 없이, 운영 체제에서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기능으로 올바른 것은?(정10-03 회)
가. Multi Setting 나. Plug &Play
다. Multi Tasking 라. Streaming
Q. Windows XP에서 자동으로 주변장치를 인식하는 기능은? (정10-04회)
가. Plug& Play 나. CMOS Setup
다. ROM BIOS 라. DMA
Q. 다음 괄호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른 것은? (정10-02회)
( )란 새로운 장치를 설정하면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사용자가 쉽게 새로운 부품이나 주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가. FTP 나. P2P
다. PnP 라. CnC
Q. PnP의 발전된 형태로서 운영중인 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나 부품을 교체해도 시스템에서 바로 인식하는 기술은? (정38회)
가. HotSwap 나. IDE
다. PCI 라. ACI
Q. 다음 괄호 속에 들어갈 올바른 용어는? (정33회)
( )은/는 장비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닐 사용 중인 장비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교체해도 시스템에서 바로 인식하는 기술이다.
가. Hot Swap 나. IDE
다. PCI 라. ACI
Q. PnP(Plug &Play)를 최초로 지원하기 시작한 운영체제는? (정37회)
가. Windows Q.1 나. Windows 95
다. Windows ME 라. Windows2000
Q. PnP장치가 관리하지 않는 것은? (정26회, 정28회)
가. DMA 채널 나. TCP 포트
다. IRQ 라. 입출력 Address
Q. 다음 중 플러그 앤 플레이(Plug &Play)의 기능이 아닌 것은? (정29회)
가. 하드디스크자동 포맷
나. 하드웨어 인터럽트 자동 설정
다. I/O 어드레스 자동 설정
라. 새로운 하드웨어 자동 설치
Q. 플러그 앤 플레이 (Plug &Play) 기능으로 잘못된 것은? (정27회)
가. I/O 어드레스 할당
나. 새로운 하드웨어 설치
다. ROM BIOS 설정
라. 하드웨어 인터럽트 설정
Q. PnP(Plug & Play) 기능이 제대로 인식되는 경우는? (정32 회, 정10-01회)
가. 롬바이오스, 주변기기, 슬롯이 PnP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
나. 주변기기, 운영체제, 슬롯이 PnP 기능이 지원되는 경 우
다. 롬바이오스, 운영체제, 주변기기가 PnP 기능이 지원 되는 경우
라. 운영체제, 슬롯, 롬바이오스가 PnP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
Q. PnP(Plug &Play)를 완벽하게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잘못된 것은? (정30회, 정34회, 정39회)
가. 장치 스스로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
나. Processor의 실행코드에 대한 계층적 권한 부여
다. 주변기기와 시스템간의 호환성
라. 운영체제의 Plug &Play 기능 지원
Q. 플러그 앤플레이(Plug &Pla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정38회, 정09-03회)
가.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기 위한 기능이다.
나. Windows에서 하드웨어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다.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 설정에 관한 기능이다.
라. UPS의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Q. PnP(Plug &Play)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정35회, 정36회)
가. Windows 98에서도 PnP가 지원된다.
나. PnP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 주변기기, 바이오스가 모두 PnP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다. PnP가 지원되는 장치는 Windows 장치 관리자에 장치가 나타나지 않는다.
라. Windows XP에서는 PnP와 NON-PnP 두 장치를 모두 지원한다.
Q. 플러그 앤 플레이(PnP)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정11-02회)
가. 새로운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자동인식, 설치 할 수 있다.
나. 전원을 켠 상태에서 바로 연결한 주변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다. WindowsXP 이후에는 모든 PnP 기능이 없어지고 USB로 대체 되었다.
라. Windows 95에서 처음 지원되었다.
Q. Plug& Play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정11-04회)
가. 컴퓨터 부팅과 함께 작동하며 각 하드웨어를 검색한다.
나.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기 위한 작업이다.
다. 하드웨어를 컴퓨터에 설치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인식 한다.
라. Windows에서 하드웨어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이다.
Q. 다음 중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정31회)
가. 기본적으로 PCI와 AGP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나. ISA장치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전혀 지원하지 못한다.
다. 플러그 앤 플레이는 주변장치를 검색, 설치하여 준다.
라. 일반적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장치를 검색할 때에는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Q. 플러그 앤플레이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정 33회)
가. 기본적으로 PCI와 AGP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나.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어댑터는 DHCP 서버로부터 IP를 자동으로 할당 받을 수 없다.
다. 플러그 앤 플레이는 주변장치를 자동으로 검색, 설치하여 준다.
라. 일반적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장치를 검색할 때에는 지원하는 장치를 검색할 때 보다 좀 더 많은 검색시간이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