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필기 용어별 문항정리 – HDD 유지보수
【HDD 유지보수】
Q. 하드디스크를 설치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정35회, 정36회, 정09-04회)
가.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클 때는 구형 바이오스에서 용량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나.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케이블 연결 커넥터는 방향이 바뀌어도 상관없다.
다. P-ATA 하드디스크의 전원 케이블은 별도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
라. P-ATA 하드디스크의 경우, 점퍼를 이용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 드라이브를 구분할 수 없다.
Q. 하드디스크의 설치 방법에 대한 내용 중 올바른 것은? (정11-02회)
가. USB를 사용하는 외장형 하드디스크의 경우 USB 포트 로 연결 후에도 필요시 전원 케이블을 따로 연결해야 한다.
나. IDE 하드디스크 설치 시 IDE 케이블의 연결 방향은 상관없다.
다. S-ATA 하드디스크의 경우 파워 케이블을 따로 끼우지 않아도 된다.
라. IDE 케이블의 빨간색이 있는 부분이 하드디스크의 1번 핀 반대 방향 쪽으로 오도록 설치한다.
Q. E-IDE 하드디스크에 케이블을 연결하려고 한다. 이때 연 결 방향으로 올바른 것은? (정30회, 정09-04회)
가. 케이블의 흰색이 있는 부분을 하드디스크의 1번 핀으로 연결한다.
나. 어떻게 연결해도 상관없다.
다. 케이블의 붉은색이 있는 부분을 하드디스크의 1번 핀으로 연결한다.
라. 케이블의 붉은색이 있는 부분을 하드디스크의 1번 핀의 반대 방향으로 연결한다.
Q.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하여 새로운 E-IDE하드디스크를 하나 더 구입하여 설치하였으나, BIOS에서 인식이 되지 않을 때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정09-01 회, 정09-04회)
가. Cable들이 바르게 연결 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나. Master/Slave 점퍼가 제대로 되어있는지 점검한다.
다. CM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 설정을 확인한다.
라. Partition이 잘 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Q. 초기 상태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경우, 가장먼저 수행 해야 되는 작업으로 올바른 것은? (정10-02회)
가. Format 나. Fdisk
다. CMOS 라. Driver
Q. Windows 의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 FDISK로 할 수 없는 작업은? (정11-03회)
가. 분할 영역 생성 및 삭제
나. 분할 영역에 관한 정보 열람
다. 클러스터크기 변경
라. 분할 영역 활성화
Q. FDISK를 실행하면 첫 화면에 “대형 디스크 지원 기능을 사용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이 나온다. 이때 ‘N’으 로 하였을 때의 파일 시스템은?(정38회)
가. FAT16 나. FAT32
다. EXT2 라. EXT3
Q. FDISK로 분할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정10-02회)
가. 분할영역을 생성할 경우에는 기본영역 → 확장영역→ 논리영역 순으로 생성한다.
나. 분할 영역의 용량을 지정할 경우에는 GB단위로만 입력해야한다.
다. 섹터 하나하나를 초기화하는 작업이다.
라. 논리 분할 영역은 확장 분할 영역안에 생성된다.
Q. 하드디스크 파티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정37 회, 정39회)
가. 파티션을 지우고 새로 생성한 경우, 재부팅하면설정 변경 사항이 반영된다.
나. 파티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포맷을 통해 하드 디스크를 초기화 해야한다.
다. 파티션매직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indows 환경에서 포맷없이 파티션을 합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라. 3개 이상의 파티션을 잡을 경우, 먼저 Primary로 잡은 다음, 남은 영역을 모두 Extended로 잡고 다시 Logical로 나눈다.
Q. FAT32의 특징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 (정09-01회)
가. 고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때에 적합하다.
나. 최대 2000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다. Windows98버전 이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라. FAT16에 비해 하드디스크 손실 공간이 적게 발생한다.
Q. Windows XP 설치 과정 중 설치할 하드디스크를 선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정10-04회)
가.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하여 사용했던 하드디스크 도 파티션을 삭제하여 다시 설정하면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 Windows XP를 설치하는 하드디스크는 반드시 NTFS로 포맷을 해야 한다.
다. 하드디스크의 전체 파티션은 제거를 하더라도,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Windows 설치 이후 사용할 수 있다.
라. Windows 설치 이전에 하드디스크의 점퍼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나눌 수 있다.
Q. Windows XP 기본 Program 내에서 NTFS 파일시스템을 FAT32 파일시스템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정37회)
가. convert 명령어를 사용해 FAT32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한다.
나. "format 드라이브명 /fs:fat32" 을사용하여 드라이브를 다시 포맷한다.
다.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파티션부터 삭제한다.
라. "del 드라이브명 /ntfs" 명령을 사용하여NTFS 파일시스템을 삭제한다.
Q.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하여 P-ATA 하드디스크를 한 개 추가하려고 한다.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 (정29 회, 정38회)
가.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분해야한다.
나. 새로 산 하드디스크를 설치한 후, 파티션 설정을 해 야 사용할 수 있다.
다. 메인보드에서 지원이 가능한 하드디스크를 구매하도록 한다.
라. 하드디스크가 설치된 상태에서 CMOS 셋업을 먼저하고, 하드디스크의 점퍼를 조정해야한다.
Q. 현재 3개의 HDD와 1개의 CD-ROM을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HDD 용량이 부족하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드웨어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정32회)
가. SCSI Card와 SCSI HDD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나. FDC에 HDD를 추가로 장착한다.
다. 기존의 저용량 HDD를 고용량으로 교체한다.
라. 메인보드가 S-ATA HDD를 지원하면 S-ATA HDD를 추가 장착하여 사용한다.
Q. 시리얼 ATA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한것 중 잘못된 것은? (정11-01회)
가. 병렬 방식보다 빠른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나. 커넥터 당 1개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
다. 점퍼 설정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설정할 수 있다.
라. 핫 플러깅을 지원한다.
Q. 스카시(SCSI)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새로 추가할 때 유의할 점이 아닌 것은? (정28회)
가. 하드디스크를 장착한 후 CMOS Setup에서 'IDE HDD Auto Detection' Menu를 이용해 인식시켜 주어야 한다.
나. ID 점퍼 설정이 다른 주변기기의 SCSI ID와 일치해서 는 안된다.
다. 스카시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려면 스카시 인터페이스 카드가 있어야한다.
라. 하드디스크가 케이블의 맨 끝에 연결되면 터미네이터를 설정해야한다.
Q. SCSI 방식의 HDD를 새로 설치하여 정상적으로 인식 되었다. 하지만 SCSI 방식의 HDD를 부팅 디스크로 사용하여 부팅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부팅이 가능하도록 하 기 위해 수행해야 되는 작업으로 올바른 것은? (정29회, 정36회)
가. 같이 연결되어 있는 IDE 방식의 HDD 부트 섹터 오류인가 검사한다.
나. SCSI 방식의 HDD 점퍼 설정을 MASTER로 변경한다.
다. 메인보드 BIOS에서 부팅 순서를 SCSI로 가장 먼저 부팅하도록 설정하였는지 확인한다.
라. IDE 방식의 CDROM을 사용 중이라면 SCSI 방식으로 교체한다.
Q. 하드디스크를 추가로 장착하였지만 인식이 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BI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를 인식 하려해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다음 중 의심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정32회)
가. CMOS Setup에서 FDD 컨트롤러 사용 유무 확인
나. 마스터, 슬레이브 점퍼 설정 오류
다. 케이블 커넥터 연결 확인
라. 하드디스크 호환성 문제
Q. Windows XP가 설치된 하드디스크로 부팅하여 사용 중이던 컴퓨터가 갑자기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의 조치로 잘못 된 것은? (정11-03회)
가. 키보드, 마우스 연결 확인
나. 바이러스 감염 여부 확인
다. 시스템 파일의 손상 여부 확인
라. CMOS의 설정 확인
Q. 하드디스크를 새로 연결한 후 계속 에러가 나고 하드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다음 중 에러의 원인 이 될 수 있는 것은? (정26회)
가. DMA66지원 하드디스크를 40핀 80라인의 하드디스크 케이블로 연결하였다.
나. 전에 있던 하드디스크와 CD-ROM을 같은 하드디스크 케이블에 연결하고 하드디스크는 세컨드리 슬레이브 로 CD-ROM은 세컨드리 마스터로 점퍼설정한 후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프라이머리 마스터로 연결하였다.
다. 케이블의 길이가 여의치 않아 DMA66 케이블에서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있던 부분을 첫번째 하드디스크에 반대로 연결하였다.
라. DMA66지원 하드디스크를 DMA100을 지원하는 케이블로 연결하였다.
Q. 케이스 전면에 있는 HDD LED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정32회)
가. HDD 파티션 설정 유무
나. HDD MASTER/SLAVE 설정
다. HDD 회전속도
라. HDD 작동 유무
Q. 케이스에 있는 HDD LED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정36회)
가. 전원 공급 장치의 이상 확인
나. CMOS의 설정 오류 확인
다. HDD의 연결 상태 확인
라. HDD의 오류 여부 확인
Q. 일반적으로 E-IDE 케이블에는 2개의 하드디스크 또는 CD-ROM을 연결할 수 있다. 같은 E-IDE 케이블에 Master 드라이브와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는 두 번째 하드디스크 또는 CD-ROM을 일컫는 용어는? (정09-01회)
가. P-ATA 나. Slave
다. Primary 라. Secondary
Q. E-IDE HDD와 CD-ROM 장치를 연결할 때 최적의 전송속도를 낼 수 있는 방법은? (정11-04회)
가. HDD는 프라이머리 마스터, CD-ROM은 세컨드리 마스터로한다.
나. HDD는 프라이머리 마스터, CD-ROM은 프라이머리 슬레이브로한다.
다. HDD는 프라이머리 마스터, CD-ROM은 세컨드리 슬레이브로한다.
라. CD-ROM은 프라이머리 마스터, HDD는 세컨드리 마스터로한다.
Q. 하드디스크를 80GB에서 160GB로 업그레이드 하였더니 인식하지 않는다. 137GB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인식하게하기 위한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정35회)
가. 운영체제가 지원 가능한지 확인한다.
나. 시스템메모리의 용량을 512MB이상으로 늘린다.
다.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하여 지원가능하게 한다.
라. Windows XP에서는 서비스팩을 설치한다.
Q. 하드디스크의 효율적인 사용 방법이 아닌 것은? (정34회)
가. 최적화(Optimizing) 유틸리티에 의한 최적화 작업
나. [디스크 검사]와 같은 하드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의 활용
다. 주기적인 로우레벨 포맷(Low Level Format)
라. 주기적인 [디스크 조각 모음] 프로그램 활용
Q. 하드디스크의 논리적인 배드섹터를 수정하기 위해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하는 작업으로, 하드디스크의 미디어(트랙, 실린더, 섹터)를 다시 만들어 제조공장에서 출하된 상태로 만드는 과정으로 올바른 것은? (정10-03회)
가. FDISK 나. 디스크조각모음
다. Low level format 라. RAID
Q. 하드디스크의 논리적인 Bad Sector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정11-01회)
가. BI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의 Type 설정을 변경한다.
나. 휴지통을 비운다.
다. Low Level Format을 실시한다.
라. 디스크 조각 모음을 실행한다.
Q. Windows XP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도중, 디스크 공간이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출력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정31회)
가. 사용하지 않는 Windows 구성 요소를 삭제한다.
나. 휴지통을 비운 후 휴지통의 사용 공간을 줄인다.
다. 자주 사용하는 파일들을 바탕화면으로 옮겨 놓아 디스크 용량을 확보한다.
라. 시스템의 디스크 정리를 실행하여 디스크공간을 확보한다.
Q. Windows XP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의 용량이 부족 한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정29회, 정09-01회)
가. 휴지통을 비운다.
나. 하드디스크파티션을 다시 설정한다.
다. 불필요한 파일과 폴더를 삭제한다.
라. 자주 사용하지 않는 파일은 압축하여 보관한다.
Q. Windows XP가 실행된 상태에서 [디스크관리] 기능을 이용 하여 HDD의 분할 영역을 삭제 또는 분할하려고 한다. 이 때 분할 영역을 변경할 수 없는 볼륨은? (정10-03회)
가. 쓰기 방지 탭이 붙어 있는 하드디스크 볼륨
나. UDMA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디스크 볼륨
다. Windows 운영체제가 설치된 하드디스크 볼륨
라. 512MB 이하의 저용량 하드디스크 볼륨
Q. 하드디스크의 NCQ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정39회)
가. ICH6 이상의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가 필요하다.
나. CMOS 셋업에서 ACHI 모드로 설정해야한다.
다.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가 필요하다.
라. 인텔 어플리케이션 액셀레이터 Q.0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한다.
Q. 노트북에 사용하는 PCMCIA에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규격은? (정09-03회)
가. Type 1 나. Type 2
다. Type 3 라. Type 4
Q.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가 아닌 것은? (정10-01회)
가. Primary 파티션 나. Extended 파티션
다. Logical 파티션 라. Physical 파티션
Q. Windows XP에서 지원하는 동적 볼륨 중 내결함성을 지원 하는 것은? (정34회)
가. 단순 볼륨 나. RAID-5 볼륨
다. 스팬 볼륨 라. 스트라이프 볼륨
Q. RAID 레벨과 해당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정10-04회)
가. RAID 0 : 가장 기본적인 구현 방식으로 빠른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여러 드라이브에 분산 저장 한다. 성능은 뛰어나지만 어느 한 드라이브에서 장애 가 발생하게 되면 데이터는 손실된다.
나. RAID 1 : 하나의 드라이브에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 놓는 방법으로, 전체 공간의 50% 용량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에러 복구 능력을 제공하며 읽기 능력이 뛰어나다.
다. RAID 5 : 3개 이상의 드라이브를 사용하여야만 가능 한 방식으로, 각각의 드라이브에 데이터와 복구 시 사용 할 패리티 정보를 저장한다. 구성된 여러 드라이브 중 하나의 디스크만 정상이어도 완벽한 데이터 복구가 가능하다.
라. RAID 0+1 : RAID 0과 1의 혼합 방식으로, RAID 0 방식으로 볼륨을 구성한 후 그 볼륨을 Mirroring 하는 방식이다.
Q. 보조기억장치의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정10-01 회)
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나. 자료 접근 방법에 따라 순차접근 방식과 직접접근 방식이 있다.
다. 주기억장치보다 가격이 비싸며, 다량의 자료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없다.
라. 보조기억장치의 종류로 자기테이프, HDD, CD-ROM 등 이 있다.
Q. Ghost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정11-01회)
가. 압축 수준 선택을 통해 백업을 할 수 있다.
나. 원본데이터 크기보다 복제할 디스크의 크기가 작아도 된다.
다. 하드디스크전체를 이미지로 만들어 백업해 주는 유틸리티이다.
라. 노턴 고스트의 경우, 병렬포트를 이용하여 두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작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