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공무원 수 30만명 전체의 49%
- 국가직 여성공무원 30만 명(전체의 49%) 돌파, 2016년 남성 초월할 듯
- 4급 이상 관리직도 여성 증가세 뚜렷
남성이 다수였던 공무원 사회에 2016년 ‘여초(女超)시대’가 열린다. 인사혁신처는 행정부 국가공무원 중 여성공무원 수가 정부수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의 49%인 30만 명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2014년 말 여성 공무원 수는 전체의 49%
2014년 말 현재 국가직 여성 공무원 수는 전체(634,051명)의 49.0%(310,860명)인 31만 860명을 기록했다.
여성 공무원 비율은 2000년 35.6%에서 2005년 43.3%, 2010년 47.2%, 2014년 49.0%로 매년 높아졌으며, 2016년에는 남성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연도별 여성공무원 비율
* 연도별 여성공무원: 293,917명(’10) → 292,038명(’11) → 299,593명(’12) → 299,101명(’13) → 310,860명(’14)
** 2016년은 추세를 반영한 예상 비율
4급 이상 관리직 여성공무원도 2010년 7.4%(593명)에서 2014년 11.0%(949명)로 많아졌으며,
4급이상 여성공무원 현황
(단위 : 명, %)
구 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목표) |
여성인원 |
593 |
684 |
783 |
840 |
949 |
- |
비율 |
7.4% |
8.4% |
9.3% |
9.9% |
11.0% |
12.0% |
※ 정부업무평가대상 44개 정부 부처 , 일반(연구·지도직, 일반임기제포함)·외무·별정직
고위공무원단의 여성공무원 비율은 2010년 3.4%에서 2012년 4.2%, 지난해 4.5%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여성 고위공무원 현황
(단위 : 명, %)
구 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여성인원 |
50 |
61 |
66 |
65 |
67 |
비율 |
3.4% |
4.0% |
4.2% |
4.4% |
4.5% |
※ 고위공무원단에 포함되지 않는 감사원 제외, 지자체 근무 국가공무원 포함
○ 5급 승진자와 경력채용에서도 여성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 5급으로 승진한 여성의 비율은 2010년 10.9%에서 2014년 16.4%로 상승했으며,
- 5급 경채로 공직에 진출한 여성의 비율도 2010년 34.7%에서 2014년 43.0%로 8.3%p 높아졌다.
여성공무원의 5급 경채 및 일반승진 현황
(단위 : 명, %)
구 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
경력채용 |
여성인원 |
96 |
107 |
133 |
63 |
114 |
비율 |
34.7% |
31.9% |
36.3% |
30.7% |
43.0% | |
일반승진 |
여성인원 |
114 |
136 |
164 |
137 |
218 |
비율 |
10.9% |
12.0% |
14.1% |
14.5% |
16.4% |
※ 5급(상당) 일반직(5급, 연구관, 지도관, 나급, 가군)·외무·별정직/ 1호·7호 경채는 제외
※ 2013년 인원이 예년에 비해 줄어든 것은 현 정부출범 초기, 신규 임용 및 승진이 동결됐기 때문으로 분석
□ (육아휴직) 육아휴직 인원은 2010년 1만 8,819명에서 2014년 3만 3,197명으로 76.4%(1만4,378명) 증가하는 등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육아휴직 현황
(단위 : 명, %)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인원 |
비율(%) | |
합계 |
18,819 |
100.0% |
26,646 |
100.0% |
29,064 |
100.0% |
32,531 |
100.0% |
33,197 |
100.0% |
여성 |
18,110 |
96.2% |
25,828 |
96.9% |
27,268 |
93.8% |
31,178 |
95.8% |
31,662 |
95.4% |
남성 |
709 |
3.8% |
818 |
3.1% |
1,796 |
6.2% |
1,353 |
4.2% |
1,535 |
4.6% |
전년대비 증가율 |
- |
41.6%(7,827명) |
9.1%(2,418명) |
11.9%(3,467명) |
2.0%(666명) |
※ 휴직요건 : 만 3세(’02) → 만 6세(’08) → 만 8세(’11) // 여성 1년 → 3년(’08)
□ 2014년 행정부 국가공무원 중 여성공무원 비율 추이
(단위 : 명, %)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행정부국가공무원 합계 |
전체 |
622,737 |
621,313 |
622,424 |
621,823 |
634,051 |
(여성) |
293,917 |
292,038 |
299,593 |
299,101 |
310,860 | |
(여성비율) |
47.2% |
47.0% |
48.1% |
48.1% |
49.0% | |
일반직·특정직 등 (교육제외) |
소계 |
266,262 |
268,632 |
270,189 |
272,424 |
276,383 |
(여성) |
55,455 |
56,656 |
58,683 |
60,010 |
62,843 | |
(여성비율) |
20.8% |
21.1% |
21.7% |
22.0% |
22.7% | |
교육공무원 |
소계 |
356,475 |
352,604 |
352,153 |
349,399 |
357,668 |
(여성) |
238,462 |
235,381 |
240,855 |
239,091 |
248,017 | |
(여성비율) |
66.9% |
66.8% |
68.4% |
68.4% |
69.3% |
직종별 여성공무원 비율
(단위 : 명, %)
구분 |
합계 |
정무직 |
일반직 |
특정직 |
별정직 | |||||
소계 |
외무 |
경찰 |
소방 |
검사 |
교육 | |||||
전체 |
634,051 |
120 |
156,540 |
477,077 |
1,819 |
115,254 |
359 |
1,977 |
357,668 |
314 |
여성 |
310,860 |
8 |
51,522 |
259,234 |
530 |
10,139 |
18 |
530 |
248,017 |
96 |
여성(%) |
49.0% |
6.7% |
32.9% |
54.3% |
29.1% |
8.8% |
5.0% |
26.8% |
69.3% |
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