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철도 개통, 전국 반나절 생활권
4월1일 광주송정역에서 개통식을 한 호남고속철도가 2일부터 본격운행에 들어간다. 착공한 지 약 6년 만에 드디어 호남선에도 시속 300Km의 고속열차가 달리게 됐다. 호남고속철도 건설 사업은, 오송역에서 시작하여 공주역, 익산역, 정읍역을 거쳐 광주송정역까지 182.3km를 고속신선으로 건설한 사업으로 총 8조 3,529억 원을 투입 한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150401(15시 이후) 호남고속철도 역사적 개통_전국 반나절 생활권(철도건설과).hwp
호남고속철도는 3년간의 설계기간을 거쳐 2009년 5월 착공하여 약 5년만인 2014년 9월 완공 하였고, 2015년 3월에는 영업 시운전을 안전하게 마쳤다.
좌석수는 기존 KTX-산천에 비해 늘어났지만(증 47석, 363→410), 좌석 무릎공간이 57mm 늘어나 쾌적한 이용이 가능해졌으며 개인별 콘센트가 설치되어 보다 편리하게 승객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용산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90분대 운행이 가능해져, KTX가 운행되고 있는 기존 호남선에 비해 운행시간이 크게 줄어든다.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 사업개요
ㅇ 사업내용 : 호남고속철도 오송∼광주송정(182.3km) 고속신선 건설
- 5개 역사(오송, 공주, 익산, 정읍, 광주송정) 신설 및 개량, 광주차량기지
- 구조물 현황
구 분 |
총 계 |
교 량 |
터 널 |
토 공 |
비고 |
연 장 |
182.3km |
72.2km |
46.0km |
64.1km |
|
비 율 |
100.0% |
39.6% |
25.2% |
35.2% |
|
개 소 |
|
71개소 |
34개소 |
- |
|
ㅇ 사업기간 : 2006년 ∼ 2015년
ㅇ 총사업비 : 8조 3,529억원(차량구입비 7,360억원 포함)
- 재원조달 : 국고출연 50%, 한국철도시설공단 50%
ㅇ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 : 억원)
구 분 |
총사업비 |
‘13년까지 |
‘14년 |
‘15년 |
‘16년 이후 |
계 |
83,529 |
64,096 |
12,033 |
3,000 |
3,524 |
국 고 |
41,764 |
28,777 |
11,587 |
- |
1,400 |
철도공단 |
41,765 |
35,318 |
1,323 |
3,000 |
2,124 |
호남고속철도 신기술 공사
|
< 참고 > 호남고속철도 역사(驛舍)
광주 송정역 |
남도 문화수도, 빛고을 광주의 관문
ㅇ 연면적 4,858.37 ㅇ 나주, 함평, 영광, 신안, 목포를 연결하는 호남권 광역교통의 거점으로서 남도 문화・관광・상업의 허브 |
|
정읍역 |
에코투어 중심으로 부상
ㅇ 연면적 4,303 ㅇ 내장산 단풍과 전통한옥(우물井 字)을 형상화 하였으며, 내장산, 변산반도 등 천혜의 자연자원으로 둘러싸인 에코 투어의 중심이자 서해안을 잇는 교통요지 |
|
익산역 |
호남권 철도동맥의 허브
ㅇ 연면적 8,303 ㅇ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군산선 등 전국에서 가장 많은 철도가 교차하는 철도교통의 요충지이자 역사 건립 103주년을 맞이하는 유서 깊은 익산의 랜드마크 |
|
공주역 |
백제문화중심 → 지역성장중심 ㅇ 연면적 4,459 ㅇ 백제문화의 단아함에 고속철도의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형상화 ㅇ KTX 공주역세권을 지역성장 네트워크의 핵심거점으로 육성하여, 충청권 내 성장거점도시(세종시, 대전광역시, 내포신도시, 천안·아산 연담도시 등)와의 연계를 강화 |
|